기능성 미생물 발굴
- 항암, 파킨슨, 양모촉진에 효능을 갖는 기능성 미생물 6종
- (항암) 종양부피 감소 등 우수한 항종양 효능 확인
- (파킨슨) 운동능력 개선 및 불안증 완화
- (양모촉진) 모발 성장기 유도 확인
김치 발효 특성 구명
- 멀티-오믹스 분석기술을 활용해 김치 발효 유산균의 기원 추적
- 김치 발효를 주도하는 3대 유산균
- 류코노스톡(Leuconostoc), 와이셀라(Weissella),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 김치 원·부재료 4종(배추, 마늘, 생강, 고춧가루) 선택적 멸균 → 배추, 마늘 유래 유산균에 의해 김치 발효 유도
종균 보급 사업
- 산업체 수요기반 종균 적용 공정 개발 및 종균 3종 상용화
- 김치종균 3종(WiKim32, WiKim33, WiKim38)의 기술이전에 따른 종균 보급 및 종균김치 상품화
* 김치종균: 김치 맛 향상, 품질균일 또는 품질기한 연장 등 김치 품질을 향상시키는 유산균
양념 속 넣기 장치 개발
- 김치산업에 “스마트 공장” 기술 도입
- 김치 생산성 2~3배 향상으로 생산비용 절감, 여유 인력 타 분야 활용
- 품질 경쟁력 확보를 통해 중국산 김치와 경쟁 가능
- 주요성과: 풍미식품, 농가식품 등 5개 업체 보급
김치 매운맛 성분의 초고속 분석
- 고감도 모세관 전기이동 기술을 활용한 초고감도 동시 분석 기술 개발
- 김치 매운맛의 주 성분 ‘캡사이신’ 과 ‘디하이드로 캡사이신’ 분석
- 두 성분을 53초만에 동시 분리하여 검출하는데 성공 → 기존 분석법(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의 경우, 약 1시간의 분석 소요 시간 발생
- 기존 분석법 대비 검출 감도 향상(캡사이신 4,230배, 디하이드로 캡사이신 2,382배)
- 담당부서
- 사업예산실
- 담당자
- 최지석
- 연락처
- 062-610-1710
- 최근업데이트
- 2020/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