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글로벌 김치문화와 발효과학의 중심
World lnstitute of Kimchi

연구분야
(2024 김치 문화 바로 알기) 우리 김치 바르게 바르게 2_한·일 김치 갈등과 우리의 대응 | |
---|---|
저자 | 이창현, 박채린, 신동훈 |
발행일 | 2024.12. |
ISBN | 979-11-87435-57-0 (93300) |
조회수 | 110 |
첨부파일 |
|
제1장 동북아 채소절임의 시작과 분화 제1절 채소 저장식품의 탄생 1. 공통 기원: 원시 채소절임 2. 원시절임에서 발효절임으로의 진화 제2절 김치, 독립 카테고리로의 분화 1. 젓갈 2. 전용양념 김칫소 3. 국물형 채소절임 4. 다름이 만들어 낸 김치의 기능성 제3절 일본 채소절임의 특징과 차이점 1. 발효원이냐, 조미액이냐? 2. 비발효·조미액 선호 문화가 탄생시킨 일본식 김치들 제2장 김치의 독자성에 대한 학술적 검토 제1절 김치 모듈화(Modularity)와 변주(Variation): 양념 제2절 동·식물 복합발효의 핵심: 젓갈 1. 젓갈과 채소절임의 융합: 15~16세기 2. 젓갈의 재료화(材料化): 17~18세기 3. 맛의 다채화(多彩化)와 젓갈: 19세기 제3절 김치 인식 체계의 변화와 김치 고유성(固有性) 제3장 한·중·일 김치 삼국지 제1절 한·일 김치 갈등 1. 한·일 김치 갈등의 시작과 전개 2. 김치 갈등 발단의 배경 3. 일본 쓰케모노의 쇠퇴와 김치의 부흥 4. 조선절임(朝鮮漬け)에서 오오바김치(大葉キムチ)로 문화의 역전 제2절 한·중 김치 갈등과 한·일 김치 갈등의 차이 제4장 문화전쟁 시대, 우리의 현주소와 대응 제1절 김치, 위기와 기회 1. 김치의 용도 변화: 필수 반찬에서 기호 식품으로 2. 사회적 김치 담그기의 명암 제2절 문화주권 수호를 위한 우리의 준비 1. 산업재이자 문화재인 김치 속성 바로 알기 2. 김치와 관련된 제도 및 거버넌스 참고문헌
|

콘텐츠 정보책임자
- 담당부서 문화진흥연구단
- 담당자 송민지
- 연락처 062-610-1772